글을 읽어보시고 고쳐야할 점, 가독성에 대해 댓글로 컨펌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소개
- SPC그룹에서 진행하는 멤버십 마일리지 서비스.
- 기존에 있던 '해피앱'을 리뉴얼하였다.
- 타 적립 시스템과 다르게 할인 시에도 적립이 가능하다.
- 그 밖에 배달, 픽업, 예약 주문도 가능하다.
▶ 화면 구성 분석
색상 & 로고
- 색상 : 요식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식욕을 촉신시키는 오렌지 컬러를 백그라운드로 사용하고, 세련된 미이지를 전달하기 위해, 딥블루 색상을 메인 컬러와 로고로 사용하였다. 그 밖에 서브 컬러로 비비드한 색조의 다채로운 색상을 사용하여 즐거운 분위기와 어플에 시인성을 주었다.
- 로고 : 고객의 미소와 감사의 의미를 담고 있는 로고. 해피포인트의 'ㅎ'를 연상시킨다.
스플래시 화면
첫 화면부터 등장하는 오렌지컬러의 배경과 메인컬러인 딥블루 컬러의 로고 화면이 뜬다. '해피포인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조시킨다.
홈화면
1)팝업창이 바로 뜬다.
2)좌측 상단에 현재 쌓인 포인트 금액을 알려준다.
3)캐러셀 형식의 이벤트 창이 있다. 자동 슬라이드 되어 사용자가 시선이 간다.
4)이미지와 텍스트로 이루어진 카테고리 모듈이 보인다. 오버플로루 스크롤링 형식으로 좁은 공간의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해피포인트 특성 상 쿠폰 페이지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아, 쿠폰 카테고리 이미지만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보여준다. 때문에 사용자의 시선을 끌어 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1)볼드체 서체의 '타임딜' 모듈이 있다. 해당 프로젝트 상품을 구매 시 10%적립과 무료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타임딜이라는 이름 답게 이벤트는 24시간만 진행된다.
2)우측 상단 메뉴바를 터치시 나의 대한 정보와 내역, 쿠폰함 등을 볼 수 있다. 또 3)어플오류 등을 문의 할 수 있는 '챗봇상담' 링크 버튼이 있다. 마치 관례적인 마이페이지창을 보는 것 같다.
전체적으로 모듈 간격이 좁아 답답하고 정보가 많은 느낌이 든다. 모듈 간의 간격을 넓히면 더 좋을 것 같다.
혜택
해피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 정보를 모아놓은 페이지.
다양한 게임과 미션을 통해 포인트를 쌓을 수 있다.
1)홈화면 페이지와 달리 우측 상단 메뉴바 옆에 쿠폰 아이콘이 있다. 혜택페이지의 의도와 잘어울어져 아이콘 배치에 이질감이 없다.
팝업창이 지나치게 많이 뜬다. 게임을 마치고 페이지 뒤로가기를 할 때마다 팝업창이 떠,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준다.
월렛
'지갑'이라는 뜻과 어울리게 결제와 멤버십 적립 등을 할 수 있는 바코드가 있는 페이지이다.
1)사용자가 오프라인 구매 시, 자주 사용할 법한 페이지를 상단 Tab에 모아 놓았다.
2)화면 하단에 팝업 모듈이 여백을 채우기 위해 둔 느낌이 들어, 깔끔하고 직관적인 UI를 위해 제거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선물하기
SPC계열사뿐만 아니라 타 브랜드 상품을 모바일 쿠폰으로 구매 또는 선물 할 수 있는 페이지이다.
타 브랜드까지 연계되어, 어플의 사용성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1)첫화면에 브랜드 카테고리 모듈이 나와 있다. 베이커리, 외식, 라이프스타일 등 큰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옵션에 따라 브랜드를 볼 수 있다.
2)우측 상단 메뉴바 옆에 선물함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어, 구매 시 바로 확인 가능하다.
3)"어떤 선물을 고민하나요?" 라는 헤드라인이 사용자가 어떤 선물을 구매할지 고민하는 사용자 입장을 고려한 것 같다.
축하, 가벼운 선물, 외식, 감사 등 행사에 어울리는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 카테고리 이미지가 3D일러스트로 통일하여 디자인에 일관성을 주어 사용자에게 어플에 신뢰감을 주었다.
마이
사용자의 대한 정보와 내역을 제공한다.
타 플랫폼과 달리 마이페이지 안에 고객센터나 앱 설정 등이 없고, 오로지 사용자의 정보만 모아두어 보기 편하다.
1)갤러리나 카메라 라이브러리가 아닌 해피포인트에서 제공하는 캐릭터로 프로필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플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어 좋은 서비스인 것 같다.
상품상세
타 플랫폼과 비슷한 UI를 가지고 있다. 1)세일을 강조하여 사용자의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
결제하기 (장바구니)
장바구니 페이지가 따로 없어, 바로 구매 페이지로 이어진다. 사용자에게 고려할 시간을 주지 않아 어플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다. 1)환불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모듈이 있다. 사용자가 환불을 원할 시 바로 해당 계좌로 환불금액을 입금해준다.
검색창이 없어!!
검색창에 필요한 제품을 바로 입력해 구매하는 유저 플로우가 상당히 많은대도 불구하고 해피포인트는 검색창을 아무리 찾아봐도 보이질 않는다. (심지어 선물페이지에도,,)

▶ 사용자 분석
사용자 조사
3040대 사용 유저들이 많으며, 그 중 40대 여성 유저들이 가장 많다.
왜 40대 여성 유저들이 많을까?
동시에 소지율이 높은 앱을 보면 대부분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앱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알뜰살뜰한 성향을 가진 40대 여성 유저들이 해피포인트 앱을 많이 이용하는 것 같다.
사용자 평가
2.8점 (플레이스토어 기준)
긍정적인 평
|
부정정인 평
|
문제점
- 사용자 관점의 문제점
- (해피오락실)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때마다 뜨는 팝업창이 거슬린다.
- 매장 위치 찾기 페이지가 잘보이지 않는다.
- 장바구니가 없어서 불편하다.
- (선물하기 페이지)브랜드별 페이지 상품 카테고리가 없어 불편하다.
- 나의 관점의 문제점
- 홈화면 페이지 모듈의 간격이 좁아 답답한 느낌이 든다.
- 월렛 페이지 하단 팝업 모듈이 불필요하게 느껴진다.
- 혜택 페이지-해피 오락실 팝업창이 지나치게 많이 뜬다.
- 장바구니 페이지가 없어, 사용자에게 고려할 시간을 주지 않는다.
- 검색창이 없어, 원하는 제품을 바로 찾을 수 없다.
▶ 개선점 찾기
- 사용자&나의 관점의 문제점
문제점 | 개선점에 대한 근거 | 개선점 |
(해피오락실)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때마다 뜨는 팝업창이 거슬린다. | 팝업창이 지나치게 많으면 사용자가 피로감을 느껴 앱을 이탈할 수 있다. | 지나친 팝업창은 자제하자!! |
매장 위치 찾기 페이지가 잘보이지 않는다. | 주문 또는 픽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해 매장 위치 페이지는 잘보이는 곳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과업을 줄여줘야 한다. | 메뉴바에 매장 위치 찾기 맵을 추가 하자!! |
장바구니가 없어서 불편하다. | 상품을 여러 개 구매하는 사용자 또는 장바구니에 담아놓고 구매를 고민하는 사용자를 위해 장바구니 페이지를 추가해야한다. | 장바구니 기능을 추가하자!! |
(선물하기 페이지)브랜드별 페이지 상품 카테고리가 없어 불편하다. | 1단계, 2단계 섹션만 고려하고 나머지 3,4단계 섹션을 고려하지 않은 UX는 사용자가 어플의 완성도에 대해 의심을 하게 된다. | 섹션을 추가하자!! 카페/디저트 > 배스킨라빈스 > 음료수 |
홈화면 페이지 모듈의 간격이 좁아 답답한 느낌이 든다. | 페이지 간격이 좁아 정보가 꽉찬 느낌이 든다. 이것은 사용자가 어플의 전달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피로감을 느껴 앱을 이탈하게 된다. | 간격을 넓히자!! |
월렛 페이지 하단 팝업 모듈이 불필요하게 느껴진다. |
오프라인 결제 시 원하는 정보만 바로 볼 수 있게 만든 페이지 의도와 달리 불필요한 팝업 모듈이 페이지의 흐름을 끊긴다. | 팝업 모듈 없애자!! |
검색창이 없어, 원하는 제품을 바로 찾을 수 없다. |
검색창에 제품을 검색해 바로 찾는 유저플로우가 상당히 많다. 또 상품을 찾다가 헤메는 사용자에게 검색창은 출구와도 같다. 때문에 검색창을 추가하여야 한다. | 검색창을 추가하자!! |
마무리
평소 SPC에 대해 관심이 많아 이번 레퍼런스는 집중해서 분석하였다. 최근 해피포인트가 새롭게 바꾸어 기존에 있던 기능과 많이 달라진 것이 보였다. 더 좋아지고 새로워진 기능도 있었으나, 기존에 기능이 더 익숙하고 편했던 부분이 아쉬웠다.
아직도 자료 분석은 부족한 것 같다. 레퍼런스 조사 블로그도 하나의 작품이라고 생각하며 읽는이의 가독성을 고려하고자 노력했다.
'래퍼런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레퍼런스 분석 - 카카오페이 (4) | 2024.08.16 |
---|---|
06. 레퍼런스 분석 - 샵스캐너 (0) | 2024.08.07 |
04. 래퍼런스 분석 - 쿠캣 (0) | 2024.07.23 |
03. 레퍼런스 분석 - 샵사이다 (Shop-CIDER) (0) | 2024.07.15 |
02. 래퍼런스 분석 - 디즈니 플러스 (0) | 2024.07.12 |